본문 바로가기
KPCM/교회에서는요..

붉은 매미가 13년 만에 출몰한다는거 아세요?-2011년 5월 14일 토요일

by 프시케 psyche 2011. 5. 15.



오늘(2011년 5월 14일 토요일) 아침

최종순 집사님과

산책을 하며

죽은 붉은 매미를 보았습니다

최종순 집사님이

이야기 해주신 

붉은 매미는

13년을 땅속에 있다가 

나와서 짝짓기를 위해

6주동안을 살다가 죽는다고 합니다

요즘 이곳 미국 남부쪽에

이 13년 만에 나타난 매미 울음소리 때문에 

시끄럽다고 합니다






원래 한국 매미들은 7년을 

땅속에 있다가 

나와 한달을 살다가 

죽는 다고 합니다

그러면 이 매미들은

왜 7년일까요..

그것은 기생충 으로 부터 도망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1년 주기로 매미가 지상에 나타나면

1주년 주기의 기생충들의

목표물이 되기때문데

매미가 2년주기일 경우

1년 주기의 기생충은 매미를 못만나기 때문에

번식을 하지 못하게 되고

어떤 끈질긴 기생충들은 

1년을 납복하며 기다린다고 합니다

3년의 주기를 가지면

더 힘들어지는데..

1년 주기와 2년 주기동안 숙주를 찾지 못하면

번식에 실패를 하고

그래서 3년 동안 다른 생물에서 살을 찌우다

매미가 나타나면

목표로 삼게 되고 

그럴때 매미는 또달아나고

5년 7년 이렇게 매미가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미 5년 주기쯤 되면

기생충은..

아니 3년 주기부터 벌써 항복하기 시작한다 합니다

기생충들은 숙주보다 작기 때문에

이런 취약한 생물들의

가장 장점은 짧은 시간안에

세대를 반복하여

자신들에게 대항하는 숙주의 진화 속도를 따라잡는다 합니다

그러면 숙주는 다시 변화를 꾀하여

달아나고

기생충은 역시 

변화를 획득하여

쫓아가는 일이 반복된다고 합니다

이것이 붉은 여왕이론이라고 한다고 하는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나오는 

붉은 여왕과 앨리스는 힘들게 달리고

또 달리지만

항상 제자리인 것처럼

주위의 모든 사물이

붉은 여왕과 앨리스와 함께 달리고 있기 때문에

끝나지 않는 경주는 진화의 원동력일 된다고 합니다


그러니

많은 기생충들의 장점은 짧은 주기로 인한 

빠른 세대 교체롤 진화 속도를 

빠르게 한다고 하는데

숙주를 쫓아 한세대가 3년씩 길어질 경우

그런 장점은 사라지게 마련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런 경우 대개는 덩치가 크고

수명이 긴 숙주가 이길수밖에 없다고 하는데

매미에게는 또 한가지 장점이 잇는데

기생충들과 달리 유성생식을 한다는 것입니다.

즉 무성 생식을 하는 기생충에게

빠른 세대 교체가 무기라면

유성생식에서는 유전자 조합에 의해 자손의 수 만큼 

다양한 개체들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다 보면 포기하지 않는 기생충이 혹시 있다면

매미는 멀찌감치 7주년 주기로 달아나게 될것인데

그럼 더이상 기생충으로서는  쫓아오기 힘들것이고

그러면 기생충도 포기하지 않고 추격해 오면

그때..어쩔 수 없이 13년 주기로 달아나게 되는데

이 13년 주기의 매미가

남부의 붉은 매미인것입니다

실제로 이 매미는 13년만에 나타났다가

또 모두 사라지고

다시 13년 만에 나타난다 합니다


-이상은 제가  인터넷 서핑으로 추가 조사한 내용입니다-




 2011년 5월 14일 토요일 아침

축구장에서 최종순 집사님과 죽은 붉은 매미를 보고...